문자의 제어에 관해 배운다. 문자의 연산이고 말할수 있다. ‘Hello’ + ‘world’ 더하기 연산 ‘Hello ‘ * 3 곱하기 연산 문자열 연산에서는 더하기하고 곱하기 만 존재. 이런 걸 왜 하는지는 지금 알필요 없다. 우선 이런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된다. 나중에 이 부분들은 코딩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그러면 데이터 타입에 따른 문자열 연산을 어떨까. print(1+1) -> data type 정수 의 계산 print(‘1’+’1’) -> data type 문자의 계산 문자열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문자만 가져오고 싶을때. print(‘Hello’[0]) print(‘Hello’[1]) 문자열을 수정하고 싶을때 ‘hello world’.capitalize() ‘hello world’..
문자는 한글자. 예를 들면 ‘코딩’에서 문자는 ‘코’ ‘딩’ ‘코딩’은 문자가 열거되어있는 문자열. 문자열을 표현하는 방법, 따옴표 print(“Hello-Python”) print(‘Hello-Python’) 따옴표 안은 문자열이니까 그대로 print한다. 따옴표가 없으면 문자열이 아니다. 우리는 정수형과 문자형 데이터 타입 두가지만 알고 있도록 하자.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chapter 4 숫자계산” 에서 이미 다루어짐.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chapter 6 문자표현” 에서 이미 다루어짐.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1” 따옴표를 붙히고 print(“1”) 정수형 데이터타입은 따옴표가 없다. print(1) print(“1”)은 문자 1을 표시한것이고, print(1)은 숫자 1을 표시한것이다. 예..
수학을 잘하면 프로그래밍을 잘할까, ->수학을 잘하는 사람이 프로그래밍을 하면 수학을 더 잘하게 된다. ->수학을 잘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은 도구일뿐. 프로그래밍을 잘하면 수학을 잘할까, ->프로그래밍은 논리적사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학에 도움이 된다.
산술연산자(+,-,*,/) 용어의 사용, 꼭 외우지 않아도 됨. 사칙연산 파일형으로 실행.print(4+2), 숫자 4와 숫자2를 ‘+’연산자를 통해 더한 결과값을 print하시오. import math를 통한 제곱연산, 몰라도 됨, 이런게 있다고만 알림.
언어는 실행방식에 따라 크게 두가지. 인터프리터 언어: 파이썬, JSP, HTML, CSS.. 웹기반언어. 컴파일 언어: C 언어, C++ 공통점: 언어는 모두 기계어로 실행. 차이점: 인터프리터 언어는 코드를 한줄 한줄 기계어로 번역해가며 실행. 컴파일 언어는 코드 전체를 기계어로 번역해 놓은 다음 실행. 그래서, 인터프리터 언어는 번역을 하며 실행하느라 실행이 느림.
파이썬의 첫 실행. 대화형,파일형(메모장) 모두 print(“Hello, World!”) 두가지 실행 방법. 대화형-> 장점: 자신의 코드를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단점: 대화형 콘솔을 띄워야 한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사용하기 불편. 파일형-> 장점: 바로 확인할순 없지만 실제프로젝트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