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private, default, protected 접근 제어자 차이점 이해
접근 권한 범위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public : 접근을 제한이 없음 protected: 동일한 패키지 내에 존재하거나 파생클래스에서만 접근가능 default : 아무런 접근 제한자 명시하지 않으면 default, 동일한 패키지 내에서만. private : 자기 자신의 클래스내에서만 접근 가능. public과 private의 예제를 통한 이해 main함수에서 A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생성했습니다. 그리고 멤버변수인 one과 멤버함수인 getOne()을 접근했습니다. 이소스는 정상동작하지 않는다. A객체의 one변수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기 위한 getOne()함수의 접근은 이상없습니다. 왜나하면 접근자가 public으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 a...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