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의 표현

2021. 2. 11. 10:52코딩강좌/파이썬

 

  •  
  •  
  • 문자는 한글자. 예를 들면 ‘코딩’에서 문자는 ‘코’ ‘딩’
  • ‘코딩’은 문자가 열거되어있는 문자열.
  • 문자열을 표현하는 방법, 따옴표
  • print(“Hello-Python”)
  • print(‘Hello-Python’) 따옴표 안은 문자열이니까 그대로 print한다.
  • 따옴표가 없으면 문자열이 아니다.
  •  
  • 우리는 정수형과 문자형 데이터 타입 두가지만 알고 있도록 하자.
  •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chapter 4  숫자계산” 에서 이미 다루어짐.
  •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chapter 6  문자표현” 에서 이미 다루어짐.
  •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1” 따옴표를 붙히고 print(“1”)
  • 정수형 데이터타입은  따옴표가 없다. print(1)
  • print(“1”)은 문자 1을 표시한것이고, print(1)은 숫자 1을 표시한것이다.
  • 예를 들면
  • 문자형으로 print(“1+1”)을 실행하면 따옴표 안의 문자열이 그대로 표시된다.
  • 숫자형으로 print(1+1)을 실행하면 숫자 1과 숫자 1을 ‘+’ 연산자를 통해

더해진 숫자데이터형 결과 값 2가 표시된다.

  • 문자형과 숫자형의 결과값이 완전히 다르다.
  • 이 단계에서 완벽히 이해하지 않아도 된다.
  • 차츰 배우게 된다.

 

'코딩강좌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 문자  (0) 2021.02.13
문자열의 제어  (0) 2021.02.13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0) 2021.02.11
숫자 계산  (0) 2021.02.11
인터프리터(Interpreter)언어와 컴파일(Compile) 언어  (0)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