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20. 18:04ㆍ코딩강좌/카카오톡챗봇
[챗봇의 응답 방식]
1.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해서 대화를 진행하는 자연언어처리 기술을 심각하게 적용하는 언어이해 방식
2. 입력받은 말에서 특정 단어나 어구를 검출하여 그에 맞는 미리 준비된 응답을 출력하는 검색 방식
3. 각본을 미리 만들고 각본에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동작과 각본에 있는 응답을 출력하는 각본 방식
이번 토이프로젝트에서는 두번째 방식, 즉 특정단어나 어구를 검출하여 그에 맞는 준비된 응답을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시나리오는 일종의 서비스의 단위이다. 너나코챗봇의 경우, 코딩클래스에 대한 소개 서비스이므로 클래스 커리큘럼, 클래스 수업료, 강의시간 등이 있을텐데, 이것이 바로 시나리오라고 보면 된다. 각각의 시나리오에는 사용자의 의도(intent)를 파악하여 응답하는 블럭을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다. 블럭은 사용자의 의도에 대한 기본단위이며 이것 자체가 인텐트(의도)라고 봐도 된다.
오픈빌더에서는 기본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그 아래에 기본 블럭들을 제공한다.
웰컴 블럭(welcome) : 말 그대로 웰컴메시지를 자동발송하는 메시지 블럭이다. 사용자를 처음 만날때 제일먼저 볼수 있는 메시지.
폴백 블럭(fall-back): 사용자의 텍스트를 이해하지 못했을때 발송하는 메시지 블럭이다.
탈출 블럭(exit): 사용자가 대화를 초기화하거나 대화를 끝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사용자 명령어
아래는 카카오 i오픈빌더의 도움말(https://i.kakao.com/docs/getting-started-overview#%EC%98%A4%ED%94%88%EB%B9%8C%EB%8D%94-%EC%86%8C%EA%B0%9C) 에서 가져온 오픈빌더의 서비스 구조이다.
[시나리오 추가: 커스터마이징]
기본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봇 관리자는 당연히 원하는 시나리오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 시나리오" 버튼으로 시나리오를 추가할 수 있다. 커스텀 시나리오로서 '커리큘럼 시나리오'를 추가하였다.
'코딩강좌 > 카카오톡챗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만들기 - #3 블럭 추가 및 발화 패턴 입력 (0) | 2021.08.20 |
---|---|
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만들기 - #1 프롤로그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