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만들기 - #1 프롤로그

2021. 8. 19. 19:08코딩강좌/카카오톡챗봇

크게 두가지 단계로 [카카오톡 챗봇 서비스 만들기] 과정을 준비한다.

 

첫째, 오픈빌더만 사용하여 만들기

카카오톡 채널 개설과 오픈빌더 OBT 승인을 받고 오픈빌더를 이용하여 간단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배포 및 테스트를 거치는 단계. 각 과정의 이해와 챗봇을 만들기위해 사용되어지는 구조적인 부분을 학습. 이 과정에서 스킬서버는 사용하지 않는다.  카톡채널에서 발화를 입력하면 엔티티에 맞게 챗봇이 응답을 하는 정도이다.

 

둘째, 스킬서버를 사용하여 커스터마이징하기

스킬서버를 사용하는 단계이다. 스킬서버는 구름IDE와 함께  flask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카톡채널에서 사용자가 발화를 하면 스킬서버에서 커스터마이징을 하는 단계이다. 기본적으로 기초 파이썬문법을 알아야한다.




* 카톡 채널 개설(카카오비지니스) 완료. (너나코챗봇) https://business.kakao.com/dashboard/

* 카카오 i 오픈빌더에 가입하고 OBT 승인 완료. https://i.kakao.com/

 

위의 과정이 끝나면 기본적으로 챗봇을 만들 준비가 된 것이다.





첫번째 단계를 위해 (오픈빌더만 사용하여 만들기)

 

크게 10단계로 진행을 해 보도록 한다. 

모든 것은 카카오 i 오픈빌더에서 진행하는 것들이다. 

오픈빌더는 챗봇마스터가 개발언어를 모르더라도 간단하게나마 챗봇을 제작할 수 있도록 편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1. 봇 시나리오 추가

 

2. 블록 추가

 

3. 발화 패턴 입력

 

4. 엔티티(Entity) 등록

 

5. 위 설정들에 대한 간단한 봇 중간 테스트

 

6. 봇 응답 작성

 

7. 패턴 보완 및 배포 준비 완료

 

8. 봇 배포

설정한 시나리오와 블록 즉 봇을 배포를 해야지만 카카오톡 채널과 내가 만든 봇을 연결 시킬 수 있다. 

 

9. 설정 (배포한 봇과 카카오톡 채널을 연결)

 

10. 카카오톡 채널에서 봇 확인



두번째 단계를 위해 (스킬서버를 사용하여 커스터마이징하기)

 

스킬 서버를 구동해야 한다. 여기서부터는 좀 어려울 수 있다. 구름IDE를 이용해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인 Flask로 스킬서버를 구동할 것이다. 따라서, 파이썬 기본 문법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