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과 거짓 (True or False)

2021. 2. 13. 22:02코딩강좌/파이썬

 

 

  • 조금 지루할수도?
  • 지금까지 우리는 print(4+2) print(4*2)등의 계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를 배웠다.
  • 이를 산술연산자라고 한다.
  • 그리고 우리가 변수를 배우는 시간에 a = 1 이라는 코드를 작성했었습니다.
  • ‘이 말은 a라는 변수에 1을 넣는다’ 라는 뜻입니다. 즉, ‘변수 a에 1을 저장해라’ 라는 의미이기도 하죠.
  • 그러면 이것은 무엇일까요. print(1 == 1)
  • ‘=’ 두개가 붙으면 하나 붙었을때와 전혀 다른 의미가 됩니다.
  • 바로 ‘같다’라는 의미입니다.
  • 너와 내가 같다, 너와 내가 다르다, 내가 너보다 낫다 고 할때 우리는 너와 나를 ‘비교한다’ 라고 말합니다.
  • 그래서 ‘==’ 같다라는 표현의 이 연산자를 ‘비교연산자’라고 부릅니다.
  • 코딩에서 연산자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산술연산자’다음으로 ‘비교연산자’를 배우게 됩니다.
  • 위에서 예로 든 print(1==1)을 통해  비교연산자 중의 하나인 ‘==’ 를 이해해 봅니다.
  • print(1==1) 에서 1==1 은 ‘1 과 1은 같다’ 라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1과 1은 같죠.
  • 맞습니다..
  • 파이썬에서 비교연산자를 사용하여 결과가 맞으면 “True”라고 합니다. 번역하면 “참”이죠. 맞지 않으면 “False”라고 합니다. “거짓”이죠. 거짓은 이런것일 겁니다.
  • 만약에 1 == 2 라고 했다면 어떤 의미일까요. ‘1과 2는 같다’라는 의미입니다.
  • 실제로 1과 2는 같을까요? 같지 않죠?^^ 네, 맞지 않습니다. 이럴때는 “False”라고 합니다.
  • 그러면 다시 print(1==1)을 보겠습니다. ‘1==1’ 1과 1은 같으므로 즉 True이므로 1==1의 결과값은 True(참)입니다. print를 사용했으니 True를 출력해야합니다. 하지만 결과갑은 ‘True’라는 문자열이 출력되지는 않습니다. True는 고유의 숫자값이 존재합니다. 바로 ‘1’이라는 값입니다. 파이썬은 True라는 값을 숫자 ‘1’로 표현합니다.
  •  
  • 따라서, print(1==1) 의 실행하면 1 이 출력됩니다.
  • print(True)를 실행해도 1 이  출력됩니다.
  • print(1 == 2)를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요. 1은 2와 같다고 했는데 맞지 않으므로 False를 출력해야 합니다. 파이썬은 False라는 값을 숫자‘0’으로 표현합니다.
  • 따라서 print(1==2)를 실행하면 0 이 출력됩니다.
  • print(False)를 실행해도 0 이 출력됩니다.
  •  
  • True, False 이렇게 사용되어지는 data type을 “boolean(불리언)”이라고 부릅니다.
  • 아주 중요한 data type입니다. 컴퓨터는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는게 매우 중요하니까요.
  •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True와  False 또한 정수형, 문자형과 같은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다. 불리언 이라고 한다. Boolean. 수학자의 이름에서 유래.
  •  
  • 이로써 위에서 배운 data type 숫자, 문자, 다음으로 boolean을 배웠습니다.
  •  
  • 불리언은 비교연산자와 같이 사용이 되어지는 걸 볼수있습니다.
  • 왜냐하면 비교를 해야 맞는지 틀린지 알수있으니까요.
  • 그럼 ‘==’같다 연산자 외에 추가적인 비교연산자를 확인해보고 불리언 결과값을 얻어볼까요.
  •  
  • 아마도 예측할수있을거라 봅니다. 수학시간에 배웠으니
  • ‘>’ ‘<’ ‘>=’ ‘<=’ 그리고 ‘!=’ 
  • print(1 > 2) 
  • printf(2 > 1) 
  • print(1 != 2)
  •  
  • 변수를 사용한 비교
  • a=1
  • b=2
  • print(a > b) 
  • printf(a > b) 
  • print(a != b)

 

'코딩강좌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if  (0) 2021.02.13
변수  (0) 2021.02.13
파이썬 개발 도구  (0) 2021.02.13
특수 문자  (0) 2021.02.13
문자열의 제어  (0) 2021.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