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2021. 2. 13. 22:02ㆍ코딩강좌/파이썬
- 변수의 뜻 , variable
- 숫자계산의 결과를 출력.
- print(1+2)
- 숫자 1을 변수로 바꿔본다.
- x = 1
- print(x+2)
- 숫자 2도 변수로 바꿔본다.
- y=2
- print(x+y)
- 문자열을 출력해보자
- print(“hello python”);
- 문자열 python을 변수로 바꿔본다.
- language = ‘python’
- print(“hello”+language)
- 변수의 사용법.
- 변수의 이름 좌측, 값 우측.
- 변수의 필요성
- 대량의 감사 메일 발송을 할 경우,
- print(“안녕하세요. 정병수님”)
- print(“정병수님의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 굉장히 큰 코드라고 가정하고 위의 코드가 일부에 들어간다면,
- 그리고 여러 사람의 이름이 들어가야 한다면 이름만 바꾸어서 복사,붙혀넣기를 통해
- 코드의 줄수가 많이 늘어날것이다.
- 이를 위해, 코드를 잘 살펴보면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 바로 정병수라는 이름.
- 이 때 우리는 중복되는 정병수라는 이름을 변수로 대체할 수 있다.
- name = “정병수”
- print(“안녕하세요”+name+”님”)
- print(name+”님의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 이름을 바꾸고 싶을 때 코드를 바꿀필요없이 변수만 바꾸면 된다.
- 프로그래밍의 중복제거, 반복제거의 원리이기도 하다.
- 아주 중요한 원리이다
- 수 계산을 위한 변수의 활용
- 숫자만 반복적으로 바뀌고 나머지 글자들은 바뀌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요구하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 바로 성적표
- 사람 이름이 바뀌고, 사람의 성적이 바뀐다. 과목은 바뀌지 않는다.
- 이름, 각과목 성적를 변수로 사용하면 여러사람의 성적을 코드 수정없이
- 표시할 수 있을것이다.
-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코드의 수정없이 변수만 바꾸면 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 print(“정병수의 성적입니다”)
- print(“국어 = 90”)
- print(“영어 = 80”)
- print(“수학 = 70”)
- 변수를 사용해보자
- name = “정병수”
- korean = 90
- english = 80
- mathmetics = 70
- print(name+”님의 성적입니다”)
- print(“국어 = “+korean)
- print(“영어 = “+english)
- print(“수학 = “+mathmetics)
- 실행해 볼까요?
- 에러가 납니다. name문자열을 표시하는 곳은 에러가 나지 않지만
- 과목 문자열과 숫자 점수를 표시하는 곳에 에러가 발생합니다.
- 에러가 난 이유는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인 것과 데이터타입이 숫자인것의 결합을 시도했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문자열과 숫자의 결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그동안 우리는 데이터타입이 숫자인경우끼리의 결합, 그리고 데이터타입이 문자열인 경우끼리의 결합을 다루어왔습니다.
- 파이썬은 결합을 시도할때에 반드시 데이터 타입이 같은 것들과 해야합니다.
- 하지만, 이번엔 문자열 데이터타입과 숫자데이터타입을 결합하려 합니다.
- 이를 위해 숫자데이터타입을 문자데이터타입으로 바꾸어야합니다.
- 이를 위해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가 있습니다.
- str() 입니다. 숫자데이터타입을 문자데이터타입으로 바꾸어주는 함수입니다.
- print(3)
- print(str(3))
- 위의 결과는 3으로 같습니다.
- 하지만 숫자3과 문자3입니다.
- print(3+3)
- print(str(3)+str(3))
- 결과는 6, 33 입니다.
- 그럼 성적표로 다시 돌아가 볼까요?
- str함수를 사용하여 각 과목점수를 숫자에서 문자데이터타입으로 바꿉니다.
- name = “정병수”
- korean = 90
- english = 80
- mathmetics = 70
- print(name+”님의 성적입니다”)
- print(“국어 = “+str(korean))
- print(“영어 = “+str(english))
- print(“수학 = “+str(mathm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