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13. 22:07ㆍ코딩강좌/안드로이드
1. pull reques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fork를 해야한다.
2. fork는 origin github repository(내것이 아닌 남의것)를 my github repository로 그대로 복제하는 기능.
3. fork한 my github repository 는 origin github repository와 연결되어 있다.
4. 즉, origin에 변화가 생길 경우(commit, push) 이것들을 그대로 내가 fork한 my github repository로 fetch 혹은 pull을 통해 반영할 수 있다. (소스트리를 사용할 경우, 버튼하나로 반영)
5. fetch는 다운만 하고 merge는 하지 않는다. 신중하게 origin git의 것들을 my git으로 반영할 때 사용한다. pull은 다운과 merge를 동시에 한다. 왠만하면 pull로 origin과의 동기화를 진행한다.
6. fork 완료 후
7. my github에서 master브랜치를 통해 소스를 수정한다.
8. 수정 후, my github로 commit 및 push하여 수정된 소스를 반영한다. (origin이 아닌 my github로 반영되는 것이다.)
9. my github 저장소에 반영된 코드를 origin github저장소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pull request를 origin에 보낸다.
10. origin 관리자가 승인하면 origin저장소에 merge된다.
11. pull request는 github에서 진행한다.
'코딩강좌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와 구글 안드로이드의 차이에 대한 이해 (0) | 2021.02.15 |
---|---|
안드로이스 스튜디오 빌드 속도 개선, 윈도우10 defender 설정 (0) | 2021.02.15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github 로그인 (0) | 2021.02.13 |
소스트리에서 github계정이 변경되었을 경우 (0) | 2021.02.13 |
apk 배포시 프로가드 설정 (0) | 2021.02.11 |